알뜰교통카드란?
대중교통을 이용하기 위해 걷거나 자전거로 이동한 거리만큼 마일리지를 적립하여 지급하고, 아울러 카드사의 추가 할인 혜택을 포함하여 대중교통비를 최대 30%까지 절감할 수 있는 교통카드이다.
알뜰교통카드 사용 방법
월 15회 이상 알뜰교통카드로 대중교통 이용 및 주민등록상 주소지 확인되어야 마일리지 지급된다. (단, 주민등록상 주소지 정상인 경우, 알뜰교통카드 앱 가입 첫 달은 대중교통 이용횟수 무관)
- 알뜰교통카드 앱 회원가입 가능지역: 서울, 인천, 경기, 부산, 대구, 대전, 광주, 세종, 울산, 제주 , 충북(청주, 옥천, 제천) , 충남 , 전북(전주, 완주, 익산, 남원, 군산, 정읍) , 전남(무안, 순천, 신안, 목포, 여수, 해남, 광양, 나주) , 경북(포항, 경주, 영주, 김천, 영천, 구미, 상주, 칠곡 / 경산 - 예정) , 경남(창원, 거제, 김해, 밀양, 산청, 진주, 창녕, 양산, 통영, 고성, 사천, 함안) , 강원(춘천, 강릉 , 원주)이다. (2022-10-01 기준이다.)
- 알뜰교통카드 사용은 전국에서 가능하다. (동해선 일부 적립 제한될 수 있다.) 알뜰교통카드 앱은 만 19세 이상 회원가입 가능하다. - 주민등록상 주소지가 대상지역이 아니거나 주소지 정상 확인되지 않은 경우 마일리지 지급되지 않는다. 알뜰교통카드만 사용하고 알뜰교통카드 앱을 이용하지 않으면 마일리지가 적립 및 지급되지 않는다.
관할 주민센터에서 발급받은 증빙서류를 회원가입을 한 뒤 내 정보에 등록하면, 만 19세 이상의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계층은 마일리지를 상향 지원한다.
알뜰교통카드 1년 반 사용 후기
21년 1월부터 22년 7월까지 1년 7개월을 썼다. 교통비로 사용한 금액과 할인받은 금액을 후기로 적어보고자 한다.
월마다 지급된 마일리지이다. 교통카드를 많이 쓴 달은 17,000원까지 지급받았다. 깜빡하고 어플 시작, 도착을 누르지 않아 지급이 안 된 적도 있고 여러 번 환승하거나 요금이 많이 나오는 빨간 버스, 신분당선 등을 타서 광고에 나오는 30% 할인 금액까지는 못 받은 것 같다. 하지만 저소득층 상향 지원을 받아 25% 할인까지는 받을 수 있었다.
1년 7개월간 통장에서 빠져나간 교통비는 806,842원이고, 지급받은 마일리지는 총 204,600원이다. 대략 25%를 할인받은 것이다.
푸른 하늘의 날 / 환경의 날 / 바다의 날 / 지구의 날 / 식목일 / 물의 날 등 기념일에 적립금 2배 이벤트를 한다. 더 적립을 받을 수 있도록 이벤트를 많이 해서 이용을 더 장려하는 것 같다.
알뜰교통카드 우리카드(후불)를 사용하는데 월말에 교통비가 빠져나가고(결제일 설정 가능) 월초에 마일리지가 입금된다.
알뜰교통카드는 할인이 많이 된다는 장점이 있지만, 가장 불편한 건 출발지점에서 출발, 도착지점에서 도착 버튼을 누르는 거다. 이동한 거리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어쩔 수 없이 출발/도착을 눌러야 하지만 잊어버리기 쉽다. 하지만 오래 사용하다 보면 이것도 익숙해진다. 깜빡하지 않도록 출발할 때 어플의 알람 기능을 사용하여 출발/도착 알람이 오게 하는 방법도 있다.
어플 사용만 괜찮아진다면 현재 시점에서 이것만큼 할인되는 카드가 없는 것 같다. 지하철을 더 많이 이용한다면 지하철 정기권을 사용하는 것을 추천한다. 교통비 지원 정책도 많다.
더 다양한 기초생활수급자(저소득층) 혜택을 알고 싶다면 아래 포스팅을 클릭해주세요.
기초생활수급자 혜택 정리: 저소득 대학생 지원 제도
기초생활수급자(저소득층) 혜택 총정리했습니다. 대학생 입장에서 도움 되는 정보들을 더 첨부하여 정리하였으니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. [목 차] 1. 각종 응시료 면제 및 할인 2. 문화누리
imojeomozip.tistory.com
'복지 정책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문화누리카드 기초생활수급자 연 11만원 무료 지원: 자격/사용처/발급방법/잔액조회 (0) | 2022.10.07 |
---|---|
기초생활수급자 혜택 정리: 저소득 대학생 지원 제도 (3) | 2022.10.04 |
한국사능력검정시험 응시료 할인 받는 법: 기초생활수급자 혜택 (0) | 2022.10.02 |